C#
C# 닷넷 기초 - 기본자료형 (정수형: int,long,byte,sbyte,short,ulong,uint,ushort) 변수선언
따봉이
2021. 12. 23. 23:12
728x90
반응형
C#에서 자료형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일정한 형식을 의미한다.
이것을 C#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을 한다.
C#에서 정수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은 다음과 같다.
기본자료형(정수형)
sbyte | -128 ~ 127 |
byte | 0 ~ 255 |
short | -32,768 ~ 32,767 |
ushort | 0 ~ 65,535 |
int |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|
uint | 0 ~ 4,274,967,295 |
long |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 |
ulong | 0 ~ 18,446,744,073,709,551,615 |
정수형 변수를 선언할 때 해당 데이터 유형에 맞는 자료형을 선언하는 이유는
메모리 효율을 위해서다. 사람의 나이는 아무리많아야 150을 넘지 못한다.
사람의 나이를 담을 변수를 굳이 Long 형식으로 선언하게 되면 150이상은 사용하지도 않는데
메모리가 그 이상을 이미 할당해 버린다.
그래서 사용될 항목이 숫자의 크기에 맞게 자료형을 선택하여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중 하나이다.
정수형 변수타입과 닷넷 프레임워크의 형식 (같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. )
sbyte | System.Sbyte |
byte | System.byte |
short | System.int16 |
ushort | System.Uint16 |
int | System.Int32 |
uint | System.Uint32 |
long | System.int64 |
Ulong | System.Uint64 |
사용법 예)
//int 와 System.Int32 , 아래 2변수는 int형의 같은 자료형 변수이다.
int Age = 0;
System.Int32 Age2 = 0;
int를 써도 되고 System.Int32를 써도 상관은 없지만 보통 int를 많이 사용한다.
그래도 System.Int32 이런게 있다는 걸 알아만 둬도
나중에 한번쯤 만나게 되는데 이때 당황하지 않고 "아 int랑 같은거지~ " 하고 넘어가면 된다.
728x90
반응형